가소설 데이터베이스_도움말

  먼저, 이 페이지에서 다루는 ‘가소설’이라는 말에 관한 설명은 ‘월드에서 쓰이는 말’ 페이지를 참고해주셨으면 합니다.

‘가소설 통계용 자료’를 쓰실 때 유의하실 점 및 참고하실 점

 

사정상 일본어는 우리말로 옮기지 않았습니다(자료 자체는 한글로 되어있음). 작품이 추가됨에 따라 다른 항목들이 새로 생겨날 가능성이 많습니다. 또한 원칙상, 국내작은 추가할 생각이 없습니다(읽었더라도).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여러 사정상 ‘제가 읽을 작품’만 다루기에 다른 분들의 정보(새 항목 추가요구 포함)는 받지 않습니다. 대신 여기에 있는 정보들은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때 자유롭게 쓰실 수 있습니다(제가 한 일은 그저 원래 있던 자료를 정리한 정도지만, 만약 참고하셨을 땐 확인차 연락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이러한 까닭으로 지금 미완성 상태이지만, 이러한 자료라도 없는 것보단 낫다는 생각에 일단 공개합니다. 업데이트는 느리게나마 천천히 이뤄질 예정입니다.
또한, 작품의 구입 및 절판된 작품 문의 등은 일절 받지 않습니다. 작품을 우리말판 문의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사항은 스스로 알아보셨으면 합니다.

사람이 만드는 자료라는 특성상 각 항목마다 모호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며, 몇몇 항목은 실제와 자잘하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데이터를 만들다 보면 자료를 정리하기 쉽게 하려고 모호하게 쓸 수밖에 없을 때도 여럿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눈치챈 분들은 알겠지만 자기가 좋아서 만든 자료이기에 사람에 따라선 참으로 필요없는 항목이 많습니다. ‘감상 대신’ 만들고 있는 자료이기에, 이 점 이해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필요한 자료만 보고 싶을 땐 엑셀파일을 받은 뒤 따로 정렬하는 걸 권장합니다).

 

‘가소설 통계용 자료’를 만든 까닭 및 각 항목 설명

 

 

 

저 자신이 지금껏 읽은 가소설들이 무엇인지를 소개하면서, 앞으로 읽을 책들의 감상을 대신하기 위해 만든 페이지입니다. 
 
저도 오랫동안 가소설을 읽어왔기에(10년 정도) 적게나마 지금까지 읽은 책들을 깔끔하게 정리해놓으면 보는 분들이 참고할 수 있지 않을까라 생각했고, 그와 함께 앞으로 읽을 원서감상도 대신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읽을 때마다 천천히 업데이트할 생각이니, 필요하신 분은 참고해주셨으면 합니다. 
 
참고로 자료는 엑셀을 이용해서 만들어졌습니다(html 형식으로 출력하는 것 역시 엑셀로 이뤄짐). 그 탓에 보기 어려운 부분이 조금 있지만(셀 테두리 지정이 안 반영되는 등), 이 점 너그럽게 이해해 주셨으면 합니다. 이 페이지 맨 마지막에 엑셀 파일 원본도 첨부하니, 자료 정렬 등이 필요할 땐 그 파일도 이용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가소설’의 기준 : ‘지금 현재’의 현대문학과는 무엇이든 좋으니 다른 것을 하고 있는 소설형식의 상상 전반을 나타냅니다. 단, 제가 읽은 책만을 다루고 있으며, 계속 말하고 있지만 ‘제 생각으로’ 판단하고 있기에, 다른 분들이 생각하는 ‘가소설’과는 다른 작품이 실릴 가능성도 높습니다. 
 
연도 : 작품이 발표된 연도를 말합니다. 위키백과 및 원서 판권장을 참고하고 있습니다. 
 
제목 : 작품의 제목을 나타냅니다. 부제는 원제 뒤에 적고 있습니다. 
 
지은이 : 작품을 지은 사람을 나타냅니다. 
 
그린이 : 작품의 그림을 그린 사람을 나타냅니다. 
 
(특수한 경우) 디자이너 : 작품을 디자인한 곳을 나타냅니다. 단, 그 레이블에서 만날 디자인하는 곳이 담당한 작품일 경우엔 언급하지 않습니다. 
 
단편·중편연작 : 단편 및 중편 여러 개가 모여 하나의 ‘작품’을 이루는 경우 여기에 언급합니다. 단편집이라 하더라도 ‘한 권의 책’으로 이뤄져있기에 같이 다루고 있습니다. 
 
내 별점 : 실제로 이 자료를 만든 이(리루에스)가 itunes에 매기고 있는 별점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이 별점은 어디까지나 추가점수라는 점입니다. 이 자료에 실은 작품은 모두 제가 좋아서(읽고 싶어서, ‘인연이 닿아서’) 읽었기에, 원칙적으로 무조건 기본점수 별 다섯 개를 주고 있습니다. 즉, ‘이 기본점수가 들어갔다는 걸 전제로’ 추가별점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까닭으로 별점은 무조건 3부터 시작하니(3~5, 그리고 이성적으로 평가할 수 없을 정도로 영향을 받은 경우 ‘별격’. 이 경우 별 5개+a를 나타냄), 이 점 역시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별 세 개를 매기고 있다고 해서 그저 그렇다기보다는, ‘좋아하는 작품이지만 추가별점은 세 개’라 받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여성 주인공 : 말 그대로 주인공이 여성인 작품을 나타냅니다. 단, 1인칭 작품일 때만 생각했으며, 3인칭은 모호하단 까닭으로 뺐습니다. 또한 두 명 이상의 1인칭이 쓰인 작품이라 할지라도, 여성 1인칭 비중이 높거나 무시할 수 없을 땐 O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린이의 말 : 말 그대로 그린이의 말이 붙어있는 작품을 나타냅니다. 
 
본문 일러스트 없음 : 장별 일러스트를 빼고, 본문에 일러스트가 없는 작품을 나타냅니다. 본문에 일러스트가 없어도 컬러 일러스트가 있는 작품들이 많습니다. 
 
데뷔작 : 지은이가 이 작품으로 데뷔했는지 어떤지를 나타냅니다. 수상작 및 여러 경우를 모두 한데묶어 나타내고 있습니다. 
 
레이블 : 각 작품의 레이블을 나타냅니다. 
 
그린이=교류형 게임 원화가 : 그린이가 교류형 게임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지 어떤지를 나타냅니다. 지금도 활동하는지에 관해선 생각하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