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이 페이지에서 다루는 ‘교류형 게임’ 및 ‘독립·상용’이라는 말에 관한 설명은 ‘
월드에서 쓰이는 말‘ 페이지를 참고해주셨으면 합니다.
‘무료 교류형 게임 통계용 자료’를 쓰실 때 유의하실 점 및 참고하실 점
사정상 일본어는 우리말로 옮기지 않았습니다(자료 자체는 한글로 되어있음). 게임이 추가됨에 따라 다른 항목들이 새로 생겨날 가능성이 많습니다.
여러 사정상 ‘자기가 하고 싶어서 플레이한 게임’만 다루기에 다른 분들의 정보(새 항목 추가요구 포함)는 받지 않습니다. 대신 여기에 있는 정보들은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때 자유롭게 쓰실 수 있습니다(제가 한 일은 그저 원래 있던 자료를 정리한 정도지만, 만약 참고하셨을 땐 확인차 연락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이 자료엔 제가 올클리어(혹은 어느 정도 올클리어에 가까운 상태)한 게임을 싣는 걸 원칙으로 하지만, 특수한 상황(게임 자체가 특이함, 미완성작(사실상 체험판), 공략이 어려워서 포기한 작품)일 경우엔 ‘비고’ 란에서 언급한 뒤 싣고 있습니다. 항목이 몇 군데 빈 작품이 이러한 경우이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이러한 까닭으로 지금 미완성 상태이지만, 이러한 자료라도 없는 것보단 낫다는 생각에 일단 공개합니다. 업데이트는 느리게나마 천천히 이뤄질 예정입니다.
또한,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 및 오류, 공략, 배포중지된 게임을 달라는 문의 등은 일절 받지 않습니다. 게임을 우리말로 옮겨달라는 문의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게임에 관한 사항은 게임을 만든 곳에 직접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사람이 만드는 자료라는 특성상 각 항목마다 모호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며, 몇몇 항목은 실제와 자잘하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데이터를 만들다 보면 자료를 정리하기 쉽게 하려고 모호하게 쓸 수밖에 없을 때도 여럿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눈치챈 분들은 알겠지만 자기가 좋아서 만든 자료이기에 사람에 따라선 참으로 필요없는 항목이 많습니다. ‘감상 대신’ 만들고 있는 자료이기에, 이 점 이해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필요한 자료만 보고 싶을 땐 엑셀파일을 받은 뒤 따로 정렬하는 걸 권장합니다).
‘무료 교류형 게임 통계용 자료’를 만든 까닭 및 각 항목 설명
저 자신이 ‘상상이 모이는 놀이터’로서 교류형 게임, 특히 (지금은)무료 교류형 게임을 매우 좋아하는데, 개인적으로 참고할 겸해서 지금껏 한 게임에 관해 간단히 정리한 자료입니다.
무료 교류형 게임은 ‘자기한테 있어 부끄러운 상상’을 숨김없이 드러내는 좋은 상상들이 많은데(사람에 따라서 취향은 물론 다르지만, 원래 그런 곳이 더 재밌는 법이니까), 여러 모로 정보가 부족해서 필요한 분께 알려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다지 많은 정보는 아니지만, 그러한 분들께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참고로 자료는 엑셀을 이용해서 만들어졌습니다(html 형식으로 출력하는 것 역시 엑셀로 이뤄짐). 그 탓에 보기 어려운 부분이 조금 있지만(셀 테두리 지정이 안 반영되는 등), 이 점 너그럽게 이해해 주셨으면 합니다. 이 페이지 맨 마지막에 엑셀 파일 원본도 첨부하니, 자료 정렬 등이 필요할 땐 그 파일도 이용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무료 교류형 게임’의 기준 : 제가 합법적으로 (배포사이트에서)다운로드해서 플레이 예정인 ‘당시 기준으로’ 무료였던 교류형 게임을 대상으로 합니다. 즉, 지금은 배포하지 않거나 유료판만 판매 중인 교류형 게임도 ‘제가 무료로 받았다면’ 무조건 집어넣고 있습니다. 독립·상용 여부는 가리지 않습니다.
연도 : 게임이 배포된 연도를 말합니다. 리뉴얼판처럼 뒤에 개정판이 나온 경우엔 ‘리뉴얼판이 발표된 연도’를 적고 있습니다. 나중에 ‘비고’ 란에 실제 연도를 언급할 생각입니다. 단, 판매되던 게임이 무료로 바뀔 경우엔 기본적으로 판매되던 연도로 기록됩니다(‘비고’ 란에 무료화 연도를 따로 적었습니다)
상용게임 : 그 게임이 상용게임인지 어떤지를 말해줍니다. 여기서 ‘X’일 땐 무료게임이란 사실을 나타냅니다. 참고로 상용게임에 가까우나 무료배포하고 있는 작품은 ‘준독립’으로, 무료게임은 아니지만 상용루트로 판매되고 있지 않은 작품(독립게임)은 ‘독립’이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름 : 게임의 이름을 말합니다. 부제는 한 칸 띄워서 나타냈습니다. 너무 긴 부제는 안 적을 때도 있습니다.
만든 곳 : 게임을 만든 집단 이름을 말합니다. 개인이 만들었을 경우엔 사이트 이름을 적고 있습니다. 참고로 게임 속 로고나 저작권 표시가 사이트 이름과 다를 때는 거의 대부분 게임 속 표기를 우선시하고 있습니다.
만든이 : 만든이의 이름을 말합니다. 모 게시판에서 만들어졌을 경우엔 거의 공통적으로 ‘VIPPER’라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만든이가 ‘집단’일 경우에는 만든 곳과 똑같이 표기하고 있습니다.
시간 : 클리어에 걸리는 평균시간을 나타냅니다. 30분~10시간 이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별한 일이 없는 이상 30분 간격으로 나타내어 알아보기 쉽게 했습니다(단, 1시간 안인 작품은 10분 단위, 6시간 이상인 작품은 시간단위로 나타냄).
참고로 여기에서 언급하는 플레이시간은 대체로 ‘기본엔딩 및 게임 내 추가요소’를 모두 즐겼을 경우를 상정했으며, 자잘한 배드엔딩을 보는 시간은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감각만 가지고 상당히 대충 계산하고 있기에, 사람에 따라서 실제 플레이시간은 조금 많이 차이가 날 수도 있습니다(대개 이대로 봐도 맞겠지만).
그리고 저는 목소리가 있는 게임일 땐 거의 모든 목소리를 끝까지 들으면서 플레이하기에, 사람에 따라서는 저보다 플레이시간이 더 빨리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까닭으로, 플레이 시간은 어디까지나 ‘대충 이 정도’로 알아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속편·외전 : 그 작품이 다른 작품의 속편, 혹은 외전(혹은 팬디스크)이란 것을 나타냅니다.
선택지 : 게임에 선택지가 있는지 없는지를 나타냅니다. 엔딩에 영향이 없어도 선택지가 있으면 ‘O’라 적고 있습니다. 또한 지도식 선택지(등장인물을 지도에서 골라 진행하는 게임)는 따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 밖에 답을 입력하는 게임이나, 어쨌든 뭔가 골라야 하는 특수한 게임은 모두 따로 언급해놓았습니다.
엔딩 수 : 게임에서 볼 수 있는 엔딩 수를 말합니다. 사정상 자잘한 배드엔딩은 엔딩으로 치지 않습니다(특수한 경우를 빼고). 또한 클리어 뒤에 볼 수 있는 번외편 및 보너스 에피소드는 제각각 다른 엔딩으로 세고 있습니다. 연재물일 경우엔 ‘특수’란 말을 덧붙이며, 옴니버스(연작) 게임은 각 에피소드마다 따로 계산했습니다.
보너스 시나리오 : 게임을 클리어한 뒤에 나오는(올클리어 여부는 가리지 않음) 보너스 시나리오가 있는지 어떤지를 나타냅니다. 본편과 따로 떼어서 배포하고 있을 때는 ‘외부’, 지은이의 말에 가까울 떄는 ‘특수’라 언급하고 있습니다. 괄호 안에 있는 숫자는 작품 속 보너스 시나리오의 양을 나타냅니다.
엔딩목록·장면회상 : 엔딩목록이나 장면회상 기능을 갖춘 작품을 나타냅니다. 챕터 단위로 회상할 수 있는 작품은 ‘회상’, 장면단위 및 특정 장면만 회상할 수 있을 때는 ‘회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엔딩목록만 볼 수 있거나 엔딩 회상만 할 수 있다면 ‘엔딩목록’이라 적고 있습니다.
계절 : 게임이 배경으로 하는 계절을 나타냅니다. 여러 계절이 섞일 경우 ‘복합’, 알 수 없을 경우 ‘불명’이라 적고 있습니다. 간혹 제가 잘못 판단해서 계절을 잘못 적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계절이 정해져 있더라도 플레이가 끝날 때까지 계절감각을 잘 느끼지 못했을 땐 그냥 ‘불명’이라 적기도 합니다. 특수한 배경일 때(사계절 내내 여름일 때처럼)는 ‘특수’라 언급하고 있습니다.
보너스 모드 : 게임에 딸려오는 보너스 모드가 있는지 없는지를 나타냅니다. 주로 CG모드 및 음악모드, 만든이의 말같은 것이 여기에 들어갑니다.
타이틀 바뀜 : 엔딩을 본 뒤 타이틀이 바뀌어 ‘게임을 클리어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경우 여기에 나타냅니다. 사정상 게임의 재미를 깎아내릴 수 있는 항목이므로, 일단 드래그해야 볼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참고로 타이틀이 점차 바뀌어갈 때는 ‘점차 바뀜’이라 나타내고 있습니다.
오리지널 그래픽 : 포즈CG 및 이벤트CG가 직접 만들거나 다른 이에게 의뢰한 데이터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만약 오리지널이 아니더라도 포즈CG에 기성자료(인터넷에서 무료, 또는 유료로 배포하는 게임용 데이터)를 썼을 경우 ‘기성자료 사용’이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벤트CG : 게임에 이벤트CG가 있는지 어떤지를 나타냅니다. 만약 있을 때는 괄호 안에 총 몇 점이 쓰였는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개그CG를 포함. CG모드만을 참고. 패턴만으로 계산하고 있음). 또한, 이 항목은 게임에 CG모드가 있는지 어떤지를 나타내는 게 아닙니다. 작품에 CG모드가 따로 없을 때는 직접 계산하기 때문에, 작품에 따라 실제와 조금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벤트CG를 세기 힘들 만큼 특수한 작품은 ‘특수’라 나타내고 있습니다.
내 별점 : 이 자료를 만든 이(리루에스)가 감상을 대신해서 매기고 있는 별점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이 별점은 어디까지나 추가점수라는 점입니다. 이 자료에 실은 작품은 모두 제가 좋아서(하고 싶어서, ‘인연이 닿아서’) 한 게임이기에, 원칙적으로 무조건 기본점수 별 다섯 개를 주고 있습니다. 즉, ‘이 기본점수가 들어갔다는 걸 전제로’ 추가별점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까닭으로 별점은 무조건 3부터 시작하니(3~5, 그리고 이성적으로 평가할 수 없을 정도로 영향을 받은 경우 ‘별격’. 이 경우 별 5개+a를 나타냄), 이 점 역시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별 세 개를 매기고 있다고 해서 그저 그렇다기보다는, ‘좋아하는 작품이지만 추가별점은 세 개’라 받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상 비고 : 각 게임에서 ‘이것만은 꼭 좋았다 말하고 싶다’란 부분이 있을 경우, 따로 평가를 적고 있습니다. 이러한 까닭으로 평가는 A~S(즉 두 개)만 존재하며, 이 항목이 비어있는 게임이라고 해서 재미없었거나 인상에 남지 않았다는 뜻은 아닙니다. S는 어떻게 해서든 다른 사람들한테도 이 부분을 알아줬으면 하는 요소를, A는 거기까진 아니지만 그래도 인상에 남았던 요소를 나타냅니다.
19금 : 19세 이상, 즉 성인만 플레이할 수 있는 게임인지 어떤지를 나타냅니다. 그 이하(15금 처럼)일 땐 따로 언급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19금 요소가 없더라도 ‘성인 권장’으로 나타내고 있는 게임은, 이 자료에서는 ’19금이 아니다’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오리지널 음악 : 게임에 쓰인 음악이 자작이거나 다른 이에게 의뢰한 음악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몇몇만 그럴 땐 ‘△’로 취급). 참고로 모든 BGM이 기성곡이지만 보컬곡 하나만이라도 오리지널일 땐 △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VIP계 : 옆동네 모 유명 게시판 중 ‘VIP 게시판’에서 만들어진 게임을 나타냅니다. 참고로 모 유명 게시판에서 만들어졌으나, VIP 출신이 아닐 경우 △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오리지널 배경 그래픽 : 자작하거나 의뢰한 배경 ‘그림’이 쓰인 작품을 나타냅니다. 즉, 직접 마련했다 해도 사진배경은 이 항목에서 ‘X”라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몇몇 배경만 오리지널일 때(한 점이라도 다른 사이트의 기성데이터를 썼을 때)엔 △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보편적 게임요소 : ‘교류형 게임’으로서가 아니라, ‘일반상식’으로서 보편적인 게임요소를 갖춘 작품을 나타냅니다. 본편에 있든 바깥에 빠져나와있든 모두 ‘O’로 나타냅니다(단, 바깥에 빠져나왔을 땐 ‘미니게임’이라 언급). 게임요소가 결말에 영향을 안 미치더라도 O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몇몇 특수한 상황일 땐 △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린이=글쓴이 : 게임에 쓰인 그림을 그린이가 ‘게임을 만든 사람(게임 속의 글을 쓴 사람)’이란 것을 나타냅니다. 즉, 게임도 만들고 그 안에 쓰인 그림도 직접 그렸다는 뜻입니다. 몇몇 부분만 그러할 때는 △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배경상황 : 무대의 배경이 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대개 연말연시나 크리스마스처럼 상징적인 기념일을 적고 있습니다. 여기에 적는 내용이 플레이할 때 치명타일 것처럼 느껴질 땐 글씨를 흰색으로 가렸습니다.
캐릭터 공략형 : 상용 교류형 게임에도 많은, ‘여러 명의 캐릭터를 공략할 수 있게 된 멀티엔딩 게임’을 나타냅니다. 즉, 여러 캐릭터들의 루트를 맛볼 수 있는 게임이란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선택지에 따라 각 캐릭터별 CG가 다르거나 특별 이벤트가 있는 경우에도, ‘엔딩’이 하나뿐이거나 어중간하다면 △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공략할 수 있는 인물수는 괄호 안에 적어두었습니다.
TAM Music Factory : 유명 무료음악 데이터 사이트인 ‘TAM Music Factory’의 음악을 쓰고 있는 게임을 나타냅니다. 이 사이트 음악을 쓴 게임이 하도 많다보니, 개인적으로 호기심이 생겨서(?) 만든 항목입니다.
엔진 : 이 게임이 어떤 엔진으로 만들어졌는지를 나타냅니다. 직접 엔진을 만들었을 땐 ‘자체’라 나타내고 있습니다(엔진 이름이 있을 때를 빼고).
팀제작 : 이 게임이 ‘팀(집단)’으로 만들어졌는지 어떤지를 나타냅니다. 팀이라고 적혀있어도 개인제작일 땐 ‘X’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몇몇 특수한 작품은 △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이한 스탭롤 : 말 그대로 조금 독특한 스탭롤을 쓰고있는 작품을 나타냅니다. 항목의 특성상 작품의 재미를 깎아내릴 수 있기에, 드래그해야 볼 수 있도록 나타내고 있습니다.
보컬곡 : 게임에 보컬곡이 쓰였는지 어떤지를 나타냅니다. 괄호 안의 숫자는 몇 곡이 쓰였는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굉장히 특수해서 ‘보컬곡’으로 치기 모호한 경우엔 △라 적고 있습니다.
동영상 (오프닝 포함) : 오프닝 등에 동영상이 들어간 게임을 나타냅니다. 오프닝이 아니라도 엔딩 스탭롤, 혹은 작품 속 연출의 일부로 들어간 경우엔 동영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동영상이 아니더라도 오프닝 화면이 있을 때는 ‘오프닝’이란 말을 따로 적고 있습니다.
목소리 : 목소리를 지원하는 작품을 나타냅니다. 풀보이스(모든 인물들의 목소리 지원) 및 부분음성(몇몇 장면에만 목소리 지원) 여부는 가리지 않습니다. 단, 풀보이스일 때엔 따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음악모드 : 작품에 음악모드가 들어간 게임을 나타냅니다. 게임에 쓰인 ‘모든 곡’이 있는지에 관한 여부는 생각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이 항목은 게임에 쓰인 음악이 오리지널이란 걸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각 곡마다 코멘트가 붙어있을 땐 ‘코멘트’라 나타내고 있으며, 특수한 음악모드 디자인을 지니고 있을 땐 ‘특수’라 나타내고 있습니다.
와이드화면 지원 : 말 그대로 와이드화면으로 된 게임을 나타냅니다. 조금 특수한 경우(전체화면은 지원하지 않지만 가로로 긴 게임)엔 △라 적고 있습니다.
きまぐれアフター : 유명 배경그래픽 및 포즈CG 제공 사이트인 ‘きまぐれアフター’의 데이터를 쓰고 있는지 어떤지를 나타냅니다. 요즘엔 정말 많이 쓰이기에 제가 궁금해서…
만든이의 말 : 전기이든 후기이든 ‘만든이의 말’이 실린 작품을 나타냅니다. 리드미(Readme)처럼 텍스트파일 혹은 사이트에 실린 경우에도 O라 적고 있습니다(사이트에 실렸을 땐 따로 나타내고 있음). 보통 만든이의 말과 달리 등장인물들이 나올 땐 ‘특수’라 나타내고 있습니다.
SENTIVE : 음악작곡 및 데이터 제공을 하는 SENTIVE의 곡을 썼는지 안 썼는지를 나타냅니다. 까닭은 이제 더 말 안 해도…
특이한 로고화면 : 로고가 조금 특이하거나, 특수한 연출을 해놓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퀵세이브 기능 : 퀵세이브 기능(버튼 한 번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게임이란 걸 나타냅니다. 교류형 게임 중 무료게임은 이 기능이 없을 때가 많기에 만들어봤습니다.
비고 : 그 밖에, 따로 항목을 만들 필요는 없지만 언급해놓고 싶은 정보를 적어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