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자아가 무너졌던 순간

나는 5년 전, 자아가 크게 무너진 적이 있었다. 그리고 5년 반이란 긴 시간이 지나서야, 나는 자아를 되찾은 것같은 느낌이 들었다.

나는 스물한 살 후반까지, 자기가 자아를 똑똑히 갖고있다 믿고 있었다. 자기는 무척 또렷한 존재이며, 앞으로 바뀌지 않으리라 생각했다.

하지만 그건 그저 큰 착각일 뿐이었다.

2009년 후반(대학교 2학년 때), 나는 제대로 ‘상상꾼’이 되기 위해 작품을 쓰던 중이었다. 그러다가 갑자기 나는 자기 자신이 무척 불안해졌다. 과연 자기 상상을 누군가 받아줄까, 란 생각을 하고 만 것이다.

그리고 그 순간, 나는 자아를 아주 잃어버렸다.

그 전에도 좋아하던 건 있었지만, 그 사건 뒤로 약 5년이 넘게 나는 자기 자신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 자기한테 자신도 없었고, 확신도 없었다. 지금껏 지니고 있던 자아가 남의 상식이나 ‘부모님이 바라는 삶’에 의존한 거짓이었단 걸 깨달은 건 그 일로부터 5년 뒤였다. 그러니까 요즘 들어와서 깨닫게 됐단 말이다.

결국 나는 자기가 판단해서 자기가 결정한 것 하나 없이, 남들이 ‘그게 현실이야’라고 말하는 거나 ‘그게 상식이야’라고 말하는 걸 진짜라고 받아들였단 말이다. 실제로 고등학교 및 대학교 2학년 때까지, 나는 상상을 빼고 대개 ‘현실’이라 믿었던 데에서만 움직이고 있었다. 교과서에 그렇다 나와있으면 거기에 따라야한다 믿었고, 어른들이 ‘이게 현실이야’라고 말하면 거기에 따라서만 살아야 하는 줄 알았다. 물론 실제로는 전혀 그렇지 않았다. 현실이란 결국 우리가 멋대로 그렇다 믿는 것일 따름이니까.

이걸 다시 말하자면, 내 자아가 텅 비는 건 시간문제였단 말도 된다. 물론 내가 ‘가슴 두근대는 일, 그러니까 상상을 하며 지내고 싶다’고 생각하지 않았다면 더 뒤에 떠올렸을지도 모르지만, 그래도 내 자아는 언젠가 바닥이 드러날 게 틀림없었다. 나는 그 5년 동안 여러 모로 몸부림쳤고, 그 결과 지금처럼 ‘밑바닥부터 쌓아온’ 자아를 얻게 되었다. 5년 전과는 생각도 할 수 없을 만큼 튼튼한 자아를.

그 당시 경험으로 지금 얻은 교훈 중 하나가 있다면, ‘자기가 생각해서 자기가 판단하는 게 최고’란 것이다. 결국 남의 말을 무작정 듣고 따라하면 자아가 사라지고 만다. 하지만 어떤 생각이든 마지막에 ‘자기가 생각해서 자기가 판단하면’, 그건 자기 자아가 된다.

자아가 없이 사는 것과 있이 사는 것 중 뭐가 나은가에 관해선 더 말할 필요도 없다. 앞일을 후회하지 않으려면, 항상 상식이든 현실이든 ‘자기가 판단해서 자기가 결정’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다시 말하자면, ‘자기만의 길’을 걷는 게 가장 중요하다. 나 역시 21년 동안 자아가 제대로 안 자랐던 것 역시 ‘남들의 말을 곧이곧대로 믿으려 했던 거’니까. 내가 그동안 겪은 현실은, 결국 다른 이들이 ‘그렇다고 믿는’ 현실이지, ‘내가 본’ 현실이 아니었던 것이다.

아무리 무모해보인다 한들, 결국 자아가 굳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시행착오하는 것, 자기가 판단해서 자기가 정하는 것, 그리고 정답만을 바라지 않는 것이다. 아무리 상식이나 ‘남들의 현실’이 거기가 틀렸다 말한들, 그걸 받아들이는 건 판단하고 결정하는 자기 자신이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결국 자아는 결코 자라지 못한다.